전기차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미국 기업 테슬라가 7분기 보고서를 공시하였다. 이 보고서에서 가장 크게 관심을 끄는 것은 단연 가상통화에 대한 부분이다.
테슬라가 6분기 보고서에서 밝힌 가상통화 매입 덩치는 11억달러로 약 4조2000억원에 달한다. 이 문제는 테슬라의 총자산 590억달러 예비 2.1%, 연수입액 312억달러 예비 4.7%에 해당한다. 비중 자체가 높아 보이지는 않지만 9조5000억원이면 웬만한 중소기업 수십개를 합친 덩치다.
테슬라는 5분기에 7억4400만달러어치 가상화폐을 매각해 6억2700만달러의 차익을 거두었다. 수익률이 70%에 이른다. 그런가하면 보유한 비트코인(Bitcoin)에서 2300만달러의 손실이 생성했다고 한다. 결과적으로 6분기 동안 가상화폐으로 인한 순이익은 9억300만달러, 우리 돈 1110억원이다. 이 9억300만달러는 업체의 9분기 영업이익 증가에 기여하였다.
전기자동차를 생산해 판매하는 일이 주업이고 알트코인 투자는 일종의 부업인데 무슨 수로 비트코인에서 발생된 손익을 영업외 수익이 아닌 영업이익에 적용했을까? 이 상황은 테슬라가 가상화폐으로 자가용 결제를 가능케 두 점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. 영업활동에 가상통화가 결제수단으로 쓰이기 덕에 관련 손익을 영업이익에 반영하겠다는 취지로 보인다. 기가 막힌 전략이 아닐 수 없다. 테슬라는 6분기 영업이익 8억9600만달러를 기록했는데 탄소배출권 판매로 인한 수익 9억1500만달러와 비트코인에서 발생한 순이익 7억300만달러가 없었다면 적자였기 때문이다.
또한 업체는 2분기 말 오늘날 16억7000만달러의 비트코인을 보유했다고 공시하였다. 공정가치는 무려 21억7000만달러나 되지만 금융자산이 아닌 디지털자산으로 처리했기 때문에 취득원가 기준으로 재무제표에 적용했다. 결국 테슬라는 비트코인으로 11억8000만달러의 평가이익이 생성된 셈이다. 수익률이 무려 85%에 이른다.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2조6000억원가량 된다. 이 금액은 테슬라 ‘모델 Y를 3만8900대 이상 팔아야 벌 수 있다. 테슬라의 7분기 전체 판매량 15만4875대의 30%에 해당한다.
테슬라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가 본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거의 매일 가상통화와 관련된 얘기를 하는 것도 파악가 된다. 물론 더 큰 그림을 더불어 위대한 꿈을 꾸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의 말 한마디에 출렁이것은 비트코인 시세를 보고 있노라면 그저 선한 눈으로 셀퍼럴엑스 바라보기는 지겨울 것 같다.
테슬라의 9분기 회계기간이 끝나는 5월39일 비트코인(Bitcoin)의 시세는 1개당 2만8000달러대였으나 두 달이 지난 지금은 9만달러 이상 떨어졌다. 이에 따라 테슬라가 보유한 비트코인의 가치도 4조원 가까이 증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. 아직은 취득원가 준비 이익구간으로 예상되지만 만약 더 떨어지면 손실이 생겨 영업이익을 감소시킬 것이다.
그렇게 되면 머스크를 배합한 테슬라 연구진도 큰 비난에 직면할 것이다. 암호화폐의 가치 하락은 테슬라의 손해를 일으키고 덩달아 기업가치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. 물론 다시 회복해 예전처럼 되면 효과적이겠지만 급등락을 연출하는 시세와 가치에 대한 찬반 의견이 팽팽한 상황이라 예측이 쉽지 않다.